환경의 날은 매년 6월 5일, 국민의 환경보전 의식 함양과 실천의 생활화를 위해 제정한 국가기념일입니다. 오늘만이라도 환경을 위한 작은 행동을 실천해 보면 어떨까요?!
어떤 방법이 있는지 모르시겠다면, 오늘의 이야기에서 실천 꿀팁을 꼭 알아가 보세요!💙
💙PPP 3줄 요약💙
P1 코앞으로 다가온 쓰레기 대란
P2 여름의 푸르름을 오피스로 채워본다면?
P3 6월 장마엔 이렇게 식물 관리하세요!
쓰레기 대란 = 우리의 미래? 🌏
2026년 수도권(그 외 지역 2030년)직매립 금지 시행에 수도권 쓰레기 매립장은 초 비상이 걸렸습니다. 인천 서구에 위치한 이 매립장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발생되는 모든 폐기물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곳인데요. 수도권 매립지 전체적으로 봤을 때 남아있는 매립 공간은 5%가 되지 않는 상황이라 인천시는 2025년 기한 이후론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였습니다. 수도권은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쓰레기 매립지 부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죠. 하지만 사람들은 쓰레기 매립장을 기피시설로 보기 때문에, 높은 지원금과 수천억의 보상금을 걸었음에도 아직까지 새로운 부지가 결정되지 않고있습니다.🥹
지금 상황은? 문제 X 문제...😫
더 큰 문제는 쓰레기 매립장 뿐만 아니라, 2026년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서 쓰레기 소각장 또한 부족한 현실이라는 점입니다. 직매립이 금지되면, 쓰레기를 그대로 묻지 않고 소각장에서 소각한 이후 매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런 방식은 쓰레기의 부피를 원래의 15% 정도로 줄여주기 때문에 매립장의 수명을 늘려준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수도권은 2026년부터, 전국적으로는 2030년부터 시행됩니다. 전국적으로 소각장 증설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실은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대로 소각장이 증설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
그렇다면, 우리나라와 같은 쓰레기 문제를 잘 해결한 다른 나라의 사례와 실생활에서 우리가 더욱 지켜가야 할 쓰레기 관련 꿀팁을 알아볼까요!?
여름 하면 어떤 색이 떠오르시나요? 마초의사춘기의 여름은 푸른 초록색입니다.💚 여름은 나무와 풀들이 푸릇푸릇하게 자라나는 시기로, 우리가 머무는 실내 공간도 그에 발맞춰 푸르름을 머금기 가장 좋은 때이기도 합니다. 그중, 워커들이 가장 오래 머무는 사무실을 푸르름으로 채워본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영국 퀸즐 대학의 심리학 연구진은 식물이 있는 사무실이 그렇지 않은 사무실에 비해 구성원들의 행복도가 높고 업무 성과도 좋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